지은이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베르댜예프 | 옮긴이 : 안성헌 | 페이지수 : 96쪽 | 책크기 : 126*185mm | ISBN : 978-89-7071-707-4 | 발행일 : 2024년 09월 15일 | 출판사 : 도서출판 대장간
자유와 인격 철학
본서 『인간과 기계』는 1930년대 유럽의 상황을 서술했다. 베르댜예프는 경제나 생활 분야에 활용된다는 보조적 의미를 넘어서 세계와 인간의 관계 맺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인가의 표상 체계, 즉 “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시대의 쟁점이 된 기술’을 설명한다. 기술에 매료된 인간은 기술 낙관론을 선전하고, 나아가 기술을 구세주로 여기는 “기술종교”의 신자가 된다. “기술”에 대한 그의 통찰은 사회학적 경험과 관찰을 통해 포괄적인 형이상학 사유로 이어진다. 그의 포괄적 사유는 기계화를 앞세운 기술 사회가 빚어낸 인간 소외, 관계 단절, 사회성 파괴, 환경 재앙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신을 간수할 수 있는 정신적 힘을 가진 존재이며 그러한 정신의 역사를 이어나갈 주역으로 본다. 단편이지만, 시대의 흐름과 상황을 보며 인격체의 참다운 자유와 해방을 고심했던 사상가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옮긴이 서문
1장/기술에 관한 사회학적, 형이상학적 문제
1. 근본 역설
2. 유기체와 조직
3. 피조물의 반란
2장/새로운 현실
1. 정신 차원의 문제
2. 이상주의적 반응
3장/기술의 진짜 위험
4장/기술과 영혼
니콜라이 A. 베르댜예프의 저작-연대순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베르댜예프 1874-1948
러시아 제국 키예프에서 태어났다. 유년기부터 인문주의 학습에 관심을 보였고, 대학 시절 마르크스주의자로 활동했다. 유형 생활 이후, 기독교 정신을 접하며 사상의 변화를 겪고 마르크스주의에서 멀어진다. 인격과 자유를 통해 진정한 주체의 문제를 숙고했다. 볼셰비키에게서 국외 추방을 당하며 독일과 프랑스에서 활동했다.
기독교 아나키스트로 실존주의 철학을 넘어선 독특한 ‘인격주의”철학을 발전시켰다. 이때 인격은 신의 형상을 닮은 모습이면서도 자유를 그 본질로 삼고 있어 자끄 엘륄과 샤르보노의 인격주의 운동과도 맞닿아있다. 베르댜예프는 소련의 공산주 의체제,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체제는 인격의 자유를 억누르는 집단주의 산물이 만든 광기라고 평가했다.
1920-30년대 비인간화를 조장하는 모든 사조를 비판하며 기념비적인 저작들을 남겼다. 1948년 프랑스 클라마르에서 사망한다. 대표작으로 『현대 세계의 인간 운명』(지만지 2012), 『새로운 중세』(1924), 『러시아 사상』(1946), 『주체와 공동체의 철학』, 『노예냐 자유냐』, 『도스토엡스키의 세계관』 등이 있다.
안 성 헌
대학과 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종교철학, 사회윤리학, 정치생태학을 공부했다. 아나키즘, 정치생태학과 탈성장, 종교와 경제 문제를 주요 연구 분야로 삼는다. 자끄 엘륄의 사회정치학 서적 몇 권과 정치생태학, 탈성장, 시장 전체주의 비판에 관한 서적들을 국문으로 옮겼다.
배송 정보
묶음 배송
교환 / 반품